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상, 소변이 참을 수 없을 만큼 갑자기 마려운 증상, 밤에 잠을 자다가 소변이 마려운 증상 등에 시달린다면 전립선비대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실제로 배뇨장애를 일으키는 전립선비대증 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수술을 부담스러워하기 마련이다. 수술 후 약을 평생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일상생활 복귀가 늦어지는 것은 아닌지, 수술이 성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지 등의 걱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전립선 조직을 절제하지 않으면서 배뇨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시술들이 도입되며 선택지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아이틴드(iTind)’이다.
아이틴드는 ‘일시적 니티놀 스텐트 삽입술’로 전립선 요도 부위에 가느다란 기구를 삽입해 요도 통로를 넓히는 방식이다. 삽입 기구는 형상기억합금(니티놀)으로 제작돼 방광 입구에서 스스로 펼쳐진다. 이 상태로 5일 정도 유지되는 가운데 전립선 조직을 부드럽게 밀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일정한 압력을 통해 요도 구조에 변화를 가해 기구 제거 이후에도 넓어진 통로를 유지시키는 원리다. 무엇보다 외과적 절개 없이 일시적 삽입만으로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핵심이다.
아이틴드 시술 시간은 5분 내외로 짧은 편이다. 다만 마취의 경우 경성내시경을 통해 기구를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척추마취, 미추마취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틴드 시술은 기존 전립선비대증 결찰술인 유로리프트(UroLift)와 비교되기도 한다. 결찰술은 전립선 조직을 좌우로 당겨 요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조직 내에 고정 기구(스텐트)가 남는다. 반면 아이틴드는 시술 후 기구를 제거하므로 체내 이물질이 남지 않는다. 이 점에서 이물감에 민감하거나 장기 관리에 부담을 느끼는 환자라면 아이틴드가 더 적합할 수 있다.
다만 아이틴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환자에게만 허가된 시술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에 따르면 만 50세 이상인 환자, 전립선 크기가 25g 이상 75g 이하인 환자, 국제 전립선증상점수(IPSS)가 10점 이상인 환자, 최고 요속(Qmax)이 12mL/s 이하인 환자 등에게 적용이 가능하다. 즉 전립선이 지나치게 크거나 증상이 경미한 환자는 대상이 될 수 없다.
성기능 보존이라는 측면에서도 아이틴드는 유의미한 치료 방법이다. 기존 수술 방법에서는 역행성 사정이 일정 비율 발생하지만 아이틴드는 이런 부작용이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물론 아이틴드는 만능 치료가 아니다. 중엽 돌출이 심하거나 전립선이 방광 안쪽으로 깊이 비대해진 경우 시술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수술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경험 있는 숙련된 의료진의 판단이 중요하다.
골드만비뇨의학과 강남점 류경호 원장은 “아이틴드 시술 자체는 간단해 보이지만 그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환자 대상자 선별과 장비 활용 등 복합적인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며 “전립선비대증 치료는 환자의 삶의 질에 직결되는데 증상이 있어도 아직 참을 만하다며 미루는 이들이 많지만 불편함이 반복될 경우 부담이 적은 치료방법부터 고려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전했다.